회계실무 21

이연헤지손익의 재분류조정

1. 개념이연헤지손익의 재분류조정이란,현금흐름헤지를 통해 기타포괄손익(OCI)에 인식해둔 평가손익을,실제 거래가 발생했을 때 당기손익(PL)으로 "옮기는" 회계처리 절차를 말한다.2. 전체 회계처리 흐름선물환 계약 체결 → 평가손익 발생 시 효과적 부분은 OCI에 인식비효과적 손익은 즉시 당기손익(PL)로 인식실제 거래(예: 외화매입 등)가 발생하면,이전에 OCI에 쌓아뒀던 금액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3. 분개 흐름표선물환 계약 체결 시파생상품 계약 체결없음--회계처리 없음결산기말 평가선물환 공정가치 상승 (헤지수단 평가이익)파생상품자산기타포괄손익(OCI)300300효과적 손익은 OCI로결산기말 평가선물환 중 비효과적 손익 발생파생상품자산파생상품이익 (PL)5050비효과적 손익은 당기손익외화매입 발생 시O..

회계실무 2025.06.06

공정가치 헤지(Fair Value Hedge) 회계실무

1. 정의공정가치헤지는 이미 보유 중인 자산 또는 부채의 공정가치가 시장위험(예: 환율, 금리 등)으로 인해 변동하는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의 헤지다.대상: 외화매출채권, 고정금리 채권, 보유 중인 재고 등회피수단: 선물환, 금리스왑 등2. 회계처리 원칙헤지대상(예: 외화매출채권)의 공정가치 변동 → 당기손익(PL) 인식회피수단(예: 선물환 계약)의 공정가치 변동 → 역시 당기손익(PL) 인식따라서, 효과적이든 비효과적이든 모든 평가손익은 PL에 반영됨3. 효과적 / 비효과적 손익의 구분정의효과적 손익: 헤지수단(선물환)이 헤지대상(채권 등)의 공정가치 변동을 상쇄한 부분비효과적 손익: 상쇄하지 못한 오차 또는 초과 부분측정 방법정량적으로 비교:예)외화채권 평가손실: -150만원선물환 평가이익: +..

회계실무 2025.06.03

우발부채 주석 작성 및 회계실무

✅ 1. 우발부채란?과거 사건에 기인하였으나, 미래의 불확실한 사건의 발생 여부에 따라 존재가 확정되는 부채.예시:소송이 제기되어 결과에 따라 손해배상금 지급 가능성이 있는 경우지급보증, 선수금 관련 클레임, 환경정화의무 등✅ 2. 회계처리 실무 (K-IFRS 기준)우발부채는 재무상태표에 부채로 계상되지 않음. 다만, 상황에 따라 충당부채로 전환될 수 있음.🔎 우발부채 vs 충당부채 구분 기준:구분인식 요건회계처리충당부채① 현재의무② 의무이행 가능성 높음(>50%)③ 금액 신뢰성 있게 추정 가능재무제표에 계상우발부채① 현재의무가 아님 또는② 의무이행 가능성 낮음③ 금액 추정 불가주석공시만 함 ✅ 3. 회계 실무 절차법무팀 or 사업부서로부터 사건 보고회계팀이 검토:사건 성격 파악 (소송, 클레임, 보증..

회계실무 2025.05.29

외화차입 시 환율·금리 리스크 회피 실무 정리

1. 기업이 외화차입 시 직면하는 주요 리스크환율 리스크환율이 상승하면, 상환 시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 함금리 리스크변동금리 기반(예: SOFR, LIBOR)으로 차입 시, 금리가 오르면 이자비용 증가 2. 리스크 대응 전략 (헷지 수단)환율 변동선물환 계약 (Forward)일정 환율로 외화 상환을 고정함. 주로 단기채무에 사용금리 변동이자율스왑 (Interest Rate Swap, IRS)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환율 + 금리 변동통화스왑 (Cross Currency Swap, CCS)원금과 이자를 모두 교환. 실질적으로 원화차입 구조로 변경 가능 3. 실무 적용 예시기업 A: 3년 만기, USD 10,000,000 차입 (SOFR + 2.0%)우려: 환율 상승, SOFR 상승적용 헷지:통화스왑(C..

회계실무 2025.05.28

선물환 vs 통화스왑(CCS)

[1] 선물환 vs 통화스왑(CCS) 비교표 기본 개념미래의 특정일에 정한 환율로 외화 매매 계약양 통화의 원금 + 이자 교환 계약계약 내용단일 환율로 외화 매수/매도원금 + 정기적인 이자도 교환주 사용 목적단기 환위험 회피장기 환위험 + 금리위험 회피기간보통 수개월 ~ 1년수년 이상 가능이자 교환 여부❌ 없음✅ 있음 (이자도 서로 주고받음)거래처주로 은행/딜러주로 은행/기관투자자실무 예수출대금 $100,000에 대해 3개월 후 환율 고정외화차입금 5년치 환율 + 금리 모두 고정 비유로 이해하면:선물환: "3개월 뒤에 딱 한 번 달러 사고팔기로 미리 약속"통화스왑: "5년 동안 매년 원금이자도 주고받는 장기적 교환 계약"[2] 그럼 선물환에서 누군가는 손해보는 거 아님?🔸 "내가 이득 보면, 상대방은 ..

회계실무 2025.05.28

금융상품 환평가 및 헷지회계 총정리

🔹 1. [기본] 외화금융상품 환평가 대상외화로 표시된 예금, 채권, 대출, 외화매출 등평가시점결산일 (기말환율 기준)평가기준금융상품 분류(FVPL, FVOCI, AC)에 따라 달라짐손익반영환차익/차손은 대부분 당기손익 처리됨 (FVOCI도 환변동은 손익 처리) 🔹 2. [분류별] 환평가 회계처리 요약FVPL공정가치 환산당기손익FVOCI공정가치 환산환변동: 손익, 가치변동: 기타포괄손익AC기말환율 환산당기손익 (외환차익/차손) 🔹 3. 헷지회계 개요목적환율/금리 변동으로부터 피헤지항목의 손익을 안정화요건문서화, 효과성 테스트 등 기준 충족 필요효과손익 인식 타이밍을 헷지수단과 일치시켜 손익 왜곡 방지 🔹 4. 헷지 유형별 회계처리 요약공정가치 헷지외화채권 등공정가치 변동 헷지헷지수단/피헤지항목 모..

회계실무 2025.05.28

금융상품의 범주별 실무예시 +주식, 회사채, 파생상품

💥 핵심 요약: 금융자산 분류는 “2단계”로 본다목적: 이 금융자산을 왜 가지고 있나?현금흐름 특성: 원금+이자 구조(SPPI 테스트)에 맞나?🔹 금융자산 3가지 분류 + 실무 예시AC (상각후원가)원금+이자 받는 게 목적이고, 팔 생각 없음만기보유채권, 외상매출금, 대여금재무상태표: 장/단기금융자산 손익계산서: 이자수익FVOCI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이자+배당도 받고, 상황 봐서 팔 수도 있음삼성전자 주식 (전략적 보유), 만기보유채권 중 매도 가능성 있는 것재무상태표: 금융자산 포괄손익: 평가손익 OCI에 인식FVPL (당기손익 공정가치)매매 목적 or 구조상 원금+이자 아니면 무조건 FVPL단타 주식투자, 주가연계증권(ELS), 펀드, 옵션재무상태표: 금융자산 손익계산서: 평가손익 당기손익에 ..

회계실무 2025.05.23

현물출자 회계처리 (고가출자, 저가출자)

1. 수령법인 입장 (자산을 받는 회사)출자자로부터 자산을 받고, 신주를 발행함자산은 공정가치로 인식자본금은 액면가 기준으로, 나머지는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회계처리차변토지100,000,000 대변자본금50,000,000주식발행초과금50,000,000 ※ ‘토지’는 예시이며, 실제로 받은 자산에 따라 계정과목은 달라질 수 있음※ 공정가치 기준으로 회계처리함2. 출자자 입장 (자산을 내고 주식을 받는 사람/회사)자산을 처분하고 대신 주식을 받는 것으로 간주장부금액과 공정가치 차이에 따라 처분손익이 발생함받은 주식은 투자자산으로 인식회계처리차변투자주식100,000,000 대변토지70,000,000유형자산처분이익30,000,000 ※ 자산의 장부가는 70,000,000원, 받은 주식의 공정가치는 100,000..

회계실무 2025.05.22

금융자산 분류 및 회계처리

🔹 1. 금융자산 분류 기준금융자산은 기업의 보유 목적과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따라 다음 3가지로 분류됨:상각후원가 측정원가에서 상각 및 손상차손 반영매출채권, 대여금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FVOCI)공정가치 변동은 OCI에 인식, 처분 시 누적 OCI 재분류채권투자 등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FVTPL)공정가치 변동을 매기마다 손익에 반영단기매매 목적, 구조화 상품 등 ▫️ 분류 기준 정리:사업모형 (Business Model): 현금흐름 회수 / 매도 목적 여부SPPI 조건 (현금흐름 특성 테스트): 원리금 회수 구조인지 여부🔹 2. 최초 인식금융자산은 거래일 기준으로 인식최초 인식 시 공정가치 + 거래원가로 측정함단, FVTPL은 거래원가 제외🔹 3. 후속 측정상각후원가유효이자율법 적용..

회계실무 2025.05.22

유상증자의 개념과 회계처리 및 실무사례(+ 공시 사례 비교 )

유상증자란?기업이 신주를 발행하여 외부로부터 자본을 유치하는 행위입니다.즉, 돈을 받고 주식을 파는 것 = 자본을 유상(有償), 즉 "돈 받고" 늘리는 것.✅ 유상증자의 목적목적설명운영자금 확보설비 투자, 인건비, 마케팅비 등 실질적인 운영자금 마련부채비율 개선자본 확충으로 부채비율을 낮춰 재무구조 건전성 제고M&A, 신규 사업 진출자금 조달을 통해 인수합병 또는 신시장 진출 자금 확보재무구조 악화 시 자본 확충감사의견 거절, 관리종목 지정 등 방지를 위해 증자 ✅ 유상증자의 방식 (4가지)방식특징주주배정 방식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 부여 (기존 지분율 유지 가능)일반공모 방식일반 투자자 대상으로 공모 (기관, 개인 모두 청약 가능)제3자 배정 방식특정 투자자에게 우선 배정 (전략적 제휴, 재무적 투자자..

회계실무 2025.05.19